-
경제학자 (8) 밀턴 프리드먼경제 2024. 3. 21. 22:01
밀턴 프리드먼은 케인즈학파에 대항한 시카고학파의 정신적 지주입니다. 1960년대부터 화폐 공급량의 변동률을 일정 범위에서 억제해야 한다는 통화주의를 주창하면서 케인즈식의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비판했습니다.
밀턴 프리드먼의 생애
밀턴 프리드먼은 1912년 7월 31일에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부모는 헝가리 출신의 유대인 이민자로, 그의 어린 시절은 가난 속에서 보냈습니다. 그러나 그의 뛰어난 지적 능력으로 그는 브루클린 공립 학교를 거쳐 시티 칼리지 오브 뉴욕으로 진학하게 됩니다.
이후 프리드먼은 시카고 대학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교수로서의 경력을 쌓게 됩니다. 그는 경제 이론에서 자유 시장의 원칙을 옹호하며,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시장의 역할을 강조하는 주장으로 유명해졌습니다. 그의 주요 저서 중 하나인 '자유 선택'은 개인의 선택이 경제 발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경제학의 중요한 업적 중 하나입니다.
프리드먼은 1976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 시기에는 이미 그의 경제 이론이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로서 미국 경제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그의 이론은 미국과 세계적인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1977년에는 시카고 대학에서 은퇴하고 샌프란시스코로 이사하였으며, 스탠퍼드 대학의 후버 연구소에서 활동하였습니다. 프리드먼은 평생을 통해 경제 이론의 발전과 자유 시장의 원칙을 옹호하는 데 헌신하였고, 그의 업적은 오늘날에도 계속해서 연구되고 논의되고 있습니다.
프리드먼의 주요 업적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경제학에서의 자유 시장 원칙을 강조한 것입니다. 그는 경제 활동을 자유 시장 메커니즘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았으며,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시장의 역할을 강조하는 입장을 취했습니다.
프리드먼의 또 다른 주요 업적은 통화량 이론과 경제 정책에 대한 연구입니다. 그는 통화량 조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 등의 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그의 '통화 수요 함수'와 '통화량 이론'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대 중앙 은행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프리드먼은 '항상 소득 가설'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현재 소득이 아닌 장기적인 소득에 따라 소비를 결정한다는 주장입니다. 이 가설은 소비와 저축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며, 소비 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또한 프리드먼은 경제 이론뿐만 아니라 정책에도 큰 관심을 가졌습니다. 그는 미국의 세금 정책, 사회 보장 제도, 교육 정책 등에 대한 제안을 내놓았으며, 이는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프리드먼과 시카고 학파
프리드먼은 시카고 학파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으로, 경제학에서의 자유 시장 원칙을 옹호하고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는 입장을 취했습니다. 이 학파는 시카고 대학의 경제학과 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그들은 경제 활동을 시장 메커니즘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시카고 학파는 자유 시장 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는 경제 개발과 번영을 촉진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들은 정부의 개입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으며, 이는 경제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봅니다.
프리드먼은 시카고 학파의 주요 인물 중 하나로, 그의 경제 이론은 항상 소득 가설과 통화량 이론을 포함하여 자유 시장 경제의 원칙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경제 정책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앙 은행의 역할을 강조하고, 통화량 조절이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시카고 학파의 이러한 접근은 현대 경제학에서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국가들이 그들의 이론을 경제 정책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접근은 자유 시장 경제의 원칙과 경제적 자유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이는 경제의 발전과 번영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의 개념과 종류 의미 (0) 2024.03.23 경제학자 (9)폴 앤서니 새뮤얼슨 (0) 2024.03.22 경제학자 (7) 조셉 스티글리츠의 정보 비대칭 노벨상 (0) 2024.03.20 경제학자 (6)칼 마르크스의 생애와 경제학 사상 영향 (0) 2024.03.19 중앙은행 (3) 2024.03.18